블로그 이미지
NDY..

카테고리

전체보기 (26)
2D (1)
3D (15)
취미생활 / 운동 (0)
주저리주저리 (7)
Total
Today
Yesterday






몇일전부터 컴퓨터상태가 이상해지고 몇몇 프로그램이 실행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되어서


간만에(?) 윈도우를 포멧하고 윈10으로 업글을 하였다.


그런데!!

최근에 집에서 하는 게임이라곤 오버워치나 스타2 정도만 해왔는데... 

(컴사양이 딸려서 플레이 되는것만으로도 감사하는중.. i5-2500(2세대) GTX560 )


오버워치를 플레이하면 몇분 지나지 않아 게임이 종료 되고 블리자드 오류 관리 프로그램이 뜨는것이다.


몇번을 해도 계속 팅기자 잠깐 검색해보니 배틀넷을 다시 깔라고 한다.


다시 깔아 봤다. 하는 김에 게임 클라이언트도 재설치 역시 안됨!


더 검색해봄 프로그램 삭제후 LOCALAPPDATA / APPDATA / TEMP / PROGRAMDATA 에 있는 폴더에 있는 Blizzard 관련된것들을 다 삭제후 베틀넷을 다시 깔아보라고 한다.


안됨....... ( 대부분 여기서 해결되는듯 하다. )


이전에 잘만 돌아가던게 안되니 환장할 노릇 -_-


더 검색해보니 그래픽 드라이버를 최신으로 깔아보라고 해서 메인보드까지 최신으로 다시 업데이트 

안됨.

비주얼 스튜디오(Visual C++)도 다시 깔아보라고 한다. (옛날에 이걸로 해결한 게임이 몇개가 있었지 ..)
기대를 가지고 플레이 !!!!  안됨 ㅠㅠ 

포기 ㅠㅠ

스타2, 하스스톤 하면서 그냥 시간을 때웠다.
(그러고 보니 다른 블리자드 게임은 잘되는게 이상하던데..)


그러다가 롤을 하게 됨 ( 몇년만인지 -_-;;)
롤을 다시 설치하면서 보니 몇개 프로그램을 깔기시작 그중에 다이렉트9 관련된것도 있던데...
뭐... 암튼 간만에 플레이를 하니 간만에 이런저런 욕을 많이 먹어 다시 종료...


 

그러다가 다시 오버워치 플레이를 해봄 ... 안팅김 -_-);;;;;    뭐지??????????????


암튼 해결.... 

( 아마 롤을 설치하면서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다이렉트9 이라든가 그 밖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파일중에 문제되는 파일을 덮어 설치 되었거나 새롭게 설치 되면서 문제가 해결된듯 싶다.;;;; )

문제 원인과 해결방법은 정확하게 모름;;;



옛날 어떤게임을 하다가 다이렉트 구버전을 새롭게 깔아서 해결 했던 기억이 있어서 

혹시나 하고 실행해보니 해결된 케이스 -_-






그밖에 그래픽 카드 드라이브를 구버전을 설치해서 해결된기억도 있으니..



======================================================================


한숨 자고 일어나니 블리자드에 문의 결과가 나왔다.


문제는 사운드쪽 충돌이라는데.

혹시나 같은 현상을 격는 분들을 위해서 남겨 놓는다.


======================================================================


우리 고객님께서 겪고 계신 튕김 현상의 원인은 오버워치의 음향 설정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어요.


이 현상을 해결하시기 위해서는 아래의 절차를 차근차근 따라 주시면 된답니다. 복잡해보이실 수 있지만, 결코 어렵지 않으니 한 번 시도해주시길 부탁드려요!


1. 오버워치가 종료된 상태에서, [문서] 폴더의 [Overwatch\Settings]  폴더에 들어가 보시면, [Settings_v0.ini] 파일이 보이실 거에요.

2. 이 파일을 복사하셔서, 바탕화면 등에 사본을 저장 해 주시구요...

3. 오버워치를 실행하신 후, 게임 내의 [설정] 에 가셔서 [전체 음향] 을 42로 설정해 주신 다음, 오버워치를 종료 해 주셔요.

4. 그 다음 [Overwatch\Settings] 폴더에 있는 [Settings_v0.ini] 파일을 '메모장' 프로그램을 이용해 열어주시면, 영어와 숫자가 적혀있는 파일이 열리실 거에요.

5. 이 열린 파일을 잘 살펴보시면...


[Sound.3]

MasterVolume = "42.000000"


이라고 적혀 있는 부분이 보이실 텐데요, 이 부분을


[Sound.3]

MasterVolume = "42.000000"

PreferXAudio2 = "0"


이렇게 되도록, MasterVolume = "42.000000" 아래에 PreferXAudio2 = "0" 이걸 적어주신 후, 메모장 파일을 저장 해 주시고 종료 해 주신 후 오버워치를 플레이 해 주시면 됩니다!


또한 우리 고객님의 컴퓨터에서 사용하시는 프로그램 중 'Teamviewer' 라는 프로그램이 확인되고 있는데요, 블리자드 게임의 원활한 실행에 영향을 준 사례가 있답니다. 이 프로그램을 잠시 삭제 해 주신 상태에서 튕김 현상이 개선 되시는지 확인 부탁드릴게요! 

=======================================






Posted by NDY..
, |




놀러갈때 가지고 놀려고 (저렴한)액션캠을 샀는데 정작 카메라로 찍은영상이 더 좋더라... (nx30 12-24mm)
흔들리기도 엄청 흔들리고 셀카봉에 단건 멀미가 날정도...

당연한거겠지만 사용하는 렌즈랑 센서가 비교가 안되니 더 좋은거겠지...

액션캠은 굉장히 활동적인 상황을 찍고 싶을때 필요한거지 그냥 일상적인걸 찍는거면 그냥 카메라로 찍는게 훨~~좋다
일반적인건 그냥 그냥 휴대폰 동영상으로 찍는게 좋을듯


아~~ 그냥 짐벌이나 살껄 ㅠㅠ

어디 휴대성과 가성비 좋은 3축 짐벌 어디 없나 ㅎㅎㅎ



일단 총알이나 모아야지

그리고 산다면 미러리스용으로 사야겠지? -_-;;;; 





( 가격 압박이 ㅠㅠ )



Posted by NDY..
, |

3D VR에 관해....

3D / 2017. 3. 20. 18:28
VR 단점~~

일반적인 360도 영상을 보는거라면 별 문제 될껀 없다.

입체감 있는 영상을 보고싶을때 문제가 많다는걸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에게 이해시키는건 좀 어렵더라...
대체로 (그냥 모니터에 보이는걸 눈앞에 띄워주면 되는게 아냐??)라고 한다.

입체감을 느끼게 해주는건 단순하게 양쪽눈에 다른 영상을 보여줘서 그 차이로 인해 영상이 입체적으로 보이는것이기 때문에 모든게 두배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360도 모든 방향을 볼수있게 해야하니 영상의 사이즈가 기존 영상보다 사이즈가 커야한다.
그리고 두개의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각각의 눈에 보여줘야한다. (파일 하나의 크기가 확 늘어난다.)
그리고 가까이에서 보는거라 고해상도 여야한다. (여기서 한번더 파일의 크기가 더 늘어난다.)


그리고 머리를 휙휙 돌려대니 잔상이 최대한 없게 하기위해 적어도 60프레임을 쏴줘야 잔상으로 인한 멀미도 어느정도 예방이 된다.
.
.
게임같은 경우에는 위에 조건을 기본적으로 충족 시킨 상태여야 하고
영상과는 다르게 자자른 프레임 드랍이나 렉같은건 발생 시키면 안된다.( 멀미가 심해지기 때문에...)
단순 영상이 아니니 120프레임을 유지시켜야 한다는 거...
지금은 잘 모르지만 디퍼트렌더링에서 120정도의 프레임을 뽑아줄수있는지 테스트를 안해봐서 모르겠다. 그래서 포워드렌더링으로 가야겠지...(1080ti는 충분히 뽑아줄려나??)

그래서 그래픽 퀄리티를 확 떨어뜨리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유저들의 눈은 높아질대로 높아져있으니... 그래픽 퀄리티를 포기하기엔 쉽지 않다...
(기술력으로 해결하는 수밖에....)

난 기술이 딸리므로 패쓰~

그밖에 멀미현상(멀미가 프레임만으로 해결되는게 아니다. 사람마다 차이, 특정 상황, 이벤트 등등)
UI 디자인을 전부다 새롭게 해야 하고
모든 테스트는 직접 기기써보면서 테스트를 해야하니 개발시간도 더뎌진다.
(빌드를 해야 테스트 가능 한것도 있으니....)
모니터로 보는것과 차이가 나니 결과물 예측하기가 힘들다.


갑자기 생각이 나서 그냥 주절주절 대본다. 생각만 해도 골치 아프네...








Posted by NDY..
, |

Populate Terrain

카테고리 없음 / 2017. 3. 10. 18:05


3dmax 에서 만든 지형을 일정한 격자로 만들어야할때 쓸만한 플러그인이 있어서 올립니다.




이렇게 바꿔주는 플러그인 입니다.







사이트는 여기로 가면 되고요





free 입니다.




압축파일을 다운받고 안에 있는 파일을 실행 시키면 자동으로 알아서 다 설치해줍니다.





실행방법은 tools에 있습니다.






실행 잘 되네요 ^^

테스트 해보니 3dmax 2016버전에서도 잘 돌아갑니다.


자주 사용할 기능은 아니지만 간혹 이런식으로 만들어야 할때는 정만 편할꺼 같네요 ㅎㅎ














Posted by NDY..
, |



우연히 알게 된거라 올립니다.

65534의 폴리곤을 가진 하나의 오브젝트를 유니티에 import 할경우에
유니티에서 메세지
Meshes may not have more than 65534 vertices or triangles at the moment. Mesh 'test_Cylinder' will be split into 2 parts: 'test_Cylinder_MeshPart0', 'test_Cylinder_MeshPart1'.

가 뜨면서 오브젝트를 나눠버립니다.


이렇게 하나의 오브젝트인데...






유니티에 import 하면 요렇게 나눠버리네요 기준은 65534 트라이앵글!







요렇게 나뉘어 버리고 나뉘는 기준도 멋대로 나뉘어 버리니 폴리곤이 많은 오브젝트를 만들때는 미리미리 자~알 나누어서 만드세요.


전 이렇게 폴리곤이 많은 오브젝트를 만들일이 없으니...
이제 알게 된..... 
앞으로도 별로 없을듯 ^^;;



























Posted by NDY..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